1. 줄거리
안중근은 어머니 '조마리아'(나문희)와 가족들을 고향에 남겨두고 떠나왔습니다. 그는 당시 대한제국의 의병대장이었습니다. 그는 동지들과 함께 단지동맹(넷째 손가락 절단)을 통해 조국의 독립을 결의합니다. 그리고 그는 조선을 침략하는데 원흉이라고 할 수 있는 '이토 히로부미'를 단 3년 내에 처단할 것이며, 그렇지 못하면 자결하는 것으로 피의 맹세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하여 블라디보스토크를 가게 됩니다. 그곳에서 오랜 동지라 할 수 있는 '우덕순'(조재윤)과 더불어 명사수였던 '조도선'(배정남), 그리고 막내 '유동하'(이현우)등을 만납니다. 그리고 더불어 독립군을 보살펴주던 다른 동지 '마진주'(박진주)와 거사를 함께 준비합니다. 그리고 적진의 한복판에 뛰어들어 목숨을 걸면서 자신을 숨기고, 이토 히로부미에게 접근했던 대한민국 독립군의 정보원 '설희'(김고은)는 일급기밀을 접하게 됩니다. 바로,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와 회담을 하기 위해 하얼빈에 도착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 내용을 안중근에게 즉시 전달합니다. 그리고 1909년 10/26! 거사를 기다린 안중근은 하얼빈역에서 막 도착한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주저하지 않고 총을 쏴 죽입니다. 그는 안타깝게도 그 자리에서 잡히게 됩니다. 죄목은 '전쟁 포로'가 아닌 '살인죄'였습니다. 그리고 조선 법정이 아닌 일본 법정에 서게 됩니다. 그리고 그는 죄인인가, 영웅인가에 대한 역사적 갈림길에 서게 됩니다. 그 이후의 이야기는 영화를 통해 접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 원작과 다른점
이 영화의 감독인 '윤제균' 감독님은 이 영화를 '어머니의 이야기'라고 표현했습니다 또한 기존에 없던 안중근이 집을 떠나는 장면을 추가하면서 '윤봉길 의사'님의 유묵이었던 장부출가생불환을 넣게 됩니다. 그리고 '조도선'이 추격당하는 동료를 구해주는 장면을 집어넣으면서 그가 조선의 사격 명수임을 알려주는 장면도 있습니다. 그리고 '설희'는 자신의 목에 칼을 대면서 의지를 관철시키는 장면을 추가하였고, 모스 부호를 통해 정보 보내는 장면도 연출했습니다. 그리고 원작에 없던 '설희'의 솔로 '그대 향한 나의 꿈'도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원작과 달리 이토를 총살하는 순간 외치는 그의 대사 '꼬레아 우라' (대한제국만세)는 실제 고증에 따라서 에스페란토어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원래 어머니인 조마리아 여사는 환영으로 나오지만, 영화에서는 실제로 등장하고 편지를 읽는 역할을 합니다.
3. 영화에 대한 평가
JK필름의 전형적인 영화라는 언급을 받게 됩니다. 같은 년도에 개봉한 '공조 2'는 신파를 자제하고 코미디에 집중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이 영화는 윤제균 감독이 직접 연출하면서 억지스럽게 상황에 맞지 않는 유머 코드와 동시에 억지스러운 감동과 신파를 남발했다는 평가가 다수입니다.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독백을 하는 자연에서 보면, 컷의 전환이 전혀 없고 카메라 워킹이 빙빙 도는 것 같은 느낌에 안 좋은 평가가 많습니다. 일부는 뮤지컬 영화의 연출법을 그대로 가져온 것 같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즉, 뮤지컬 영화라는 특성의 이해가 조금은 부족해 보이며, 그에 따라 자연스러운 전개가 부족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뮤지컬 애호가들은 그럴거면 뮤지컬 실황을 따오라는 안좋은 평가까지 받게 됩니다. 그러나 주연인 '정성화'씨의 호연은 상당히 고무적이었습니다. 뮤지컬에서 보여줬던 그 모습을 그대로 보여줬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주인공을 제외하곤 뮤지컬 배우들이 아니어서 발성도 맞지 않는다는 등 아쉬움을 표시했습니다. 그러나 뮤지컬 원작의 넘버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음악 품질만큼은 상당히 뛰어남을 평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일반 관람객들은 그래도 안중근의 영화라는 이유로 애국심 버프가 상당히 있어서 평론가의 평가와는 사뭇 다른 점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당히 기대했던 영화이기에 조금은 아쉬움도 있지만 이런 영화는 자주 나와줬으면 좋겠습니다.